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언어성 검사
- 아동중심 놀이치료의 치료자의 역할
- 아동 심리평가의 유형
- 투사적 검사
- 정신병리
- 심리평가의 개념
- 심리평가의 필요성
- 동작성 검사
- 불안장애
- 행동 읽어주기
- 지능검사 실시의 유의사항
- 발달정신병리학
- 우울증
- 영국 대상관계이론
- 북미 대상관계이론
- 아동상담과 평가
- 대상관계의 발달과정
- 아동 심리평가 선택 시 고려사항
- 유아용 지능검사(k-wppsi)
- 아동 심리평가의 종류
- 수용적 반응 : 반영
- 분리개별화 과정
- 아동상담
- 아동상담 과정
- 아동중심 놀이치료
- 개방식 질문
- 아동용 지능검사(k-wisc-ⅲ)
- 추적반응(tracking)
- DSM-ⅳ
- 구조적 대상관계이론
- Today
- Total
목록우울증 (2)
나의나무

1. 불안의 본질 - 불안은 정상적인 경험이며, 더욱이 이것은 발달과정 안에서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발달에 이상이 생길 경우 학령전기의 아동조차 자신의 기능을 방해하며 심각한 정서적 고통을 일으키는 불안을 완화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1) 정상발달에서의 공포 - 공포(fear)는 일반적으로 환경의 위협에 대한 정상적 반응으로 정의된다. 공포는 개인이 처한 상황이 신체적으로 또는 심리적으로 유해한 상황이라는 것을 경고해 주기 때문에 적응적이고 심지어는 생존에 필수적인 것이기도 하다. 생의 최기 유아는 유해한 자극이 임박했을 때를 예측하고 "곧 위험해질 거야!"라고 경고하는 내면의 붉은 깃발인 불안 신호를 경험한다. 그런 경고를 접한 아동은 도움을 구하기 위해 부모를 보며 우는 등의 공포를 피하기 위..

안녕하세요? 4월의다이아입니다. 여름방학이 끝나고 개학이 다가오거나 이미 개학한 학교가 많아졌습니다. 방학 동안 즐겁고 신나게 놀던 아이들이 다시 학교에 갈 생각을 하니 가기 싫어지는 마음은 당연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누구에게나 느끼는 감정일 수도 있지만 조금 심각하게 이것을 느끼는 아이들도 있어서 오늘은 개학증후군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1. 개학증후군이란? 개학증후군이란 개학이 다가오거나 새로운 학년이 시작되기 직전, 심한 스트레스를 받아 두통이나 복통 따위를 호소하거나 불안함을 느끼는 심리상태를 말한다.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지만, 쉽게 생각하고 방치하면 심리적 문제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관심을 가지고 아이를 지켜보면서 해결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2. 개학증..